신분당선 수지구청역에서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내려갈 때 찍은 사진입니다. 분당선과 신분당선은 정말 지하 깊게 뚫려있어서 다소 탑승하는 데 시간도 오래 걸리기도 하고 가끔은 위험한 것도 같습니다. 이렇게 내려가서도 한 층을 더 내려가야 합니다. 신분당선은 수원에서 강남을 30분대에 도착할 수 있기도 하고, 경부고속도로에 차가 막힐 것을 걱정하지 않아서 정말 편리한데요. 요금이 다소 비싸다는 것이 흠인 것 같습니다.
위의 사진과 같이 환승센터가 잘 되어 있었는데요. 본인이 탈 버스 노선을 어디서 타는지 확인한 후에 그 앞에 서서 버스가 오기를 기다리면 됩니다. 문의 색에 따라서 노선이 달라지는데요. 빨강색은 광역버스를 파란색은 공항버스를 초록색은 지역버스를 탑승할 수 있는 게이트라고 보시면 됩니다. 마치 고속터미널에서 각 지역으로 가는 버스를 탑승하는 것 같고 색달랐습니다.
저는 광역버스 중 M버스를 타기 위해서 빨간 광역버스 탑승게이트 앞에서 대기하였는데요. 스마트 교통정보라고 해서 곳곳에 설치되어 있는 CCTV화면과 내가 탑승할 버스가 어디쯤 오고 있는지 도착하는 데 얼마나 소요되는지 등의 정보를 한 눈에 볼 수 있어서 편리합니다.
자동문인 것은 알고 있지만 내가 버튼을 누르고 나갈 수 있는 것인지 아니면 버스가 오면 자동으로 인지하여 문이 열리는 시스템인지를 몰라서 무작정 기다렸는데요. 나중에 알고보니 버스가 게이트 앞에 정차하면 그 때 안전하게 문이 열리게끔 되어 있어서 신기했습니다. 당황하지 마시구 버스 오면 알아서 자동문 열리니 기다리시면 될 것 같습니다.
그도 그럴것이 정말 많은 버스가 빠른 속도로 지나다녀서 위험하기 때문에 이러한 시스템을 도입한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습니다. 반대편으로 건너가시는 분들은 중간에 통로가 있어서 신호를 기다렸다가 자동문이 열리면 건너가시면 됩니다.
내가 타야하는 버스를 탈 수 있는 곳인지 다시 한 번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바닥에 있는 번호 표시를 체크하는 것입니다. 일반 도로에는 페인트로 대충 표시가 되어 있어서 어디가 어딘지 헤매는 경우가 많았는데 환승센터는 정말 깔끔하게 잘 정리되어 있었습니다.
환승센터가 생기기 전에는 지상으로 다니는 버스들이 자주 정차하여 혼잡했는데요. 또 그 많은 승객들이 다 내리고 탈 때까지 기다리는 일이 없어서 혼잡하지 않은 것이 가장 큰 장점이 것 같습니다.
'생활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해피포인트 적립금 및 사용처 알아보기 (0) | 2017.12.15 |
---|---|
영등포 타임스퀘어 영업시간 안내 및 주차요금 알아보기 (0) | 2017.12.14 |
동탄역 롯데캐슬 트리니티 모델하우스 후기 (0) | 2017.12.11 |
수원 롯데몰 및 롯데백화점 영업시간 안내 (0) | 2017.12.10 |
연말카운트다운장소를 고민한다면 추천리스트 4가지를 참고하자 (0) | 2017.12.10 |